사용자/부서문서함 생성 시 파티션 할당 알고리즘

사용자/부서문서함 생성 시 파티션 할당 알고리즘

사용자 또는 부서문서함을 생성할 때 파티션 할당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일 용도의 문서함 파티션이 복수 개인 경우 가용공간 비교하여 가장 큰 가용공간에 문서함을 할당합니다. 가용공간은 물리적 가용공간이 아니라 파티션 전체 용량에서 사용자 또는 부서문서함에 최대 사용가능으로 할당한 용량을 제외한 용량입니다.

) 파티션#1파티션 #2의 용량이 10TB로 같다고 가정할 때 파티션 #2가용공간이 더 큽니다.



파티션에는 서버 위치(서버가 있는 지역) 정보가 있습니다. 만약 파티션이 여러 지역에 존재하면 사용자나 부서문서함을 생성할 때 서버 위치를 지정합니다. 이때에 해당 서버 위치(지역)에 동일 용도의 문서함 파티션이 복수 개 존재하면 해당 파티션만을 대상으로 가용공간을 비교하여 자동으로 할당합니다



사용자 등록할 때 파티션 설정

같은 지역에 파티션이 여러 개가 있을 경우에는 개인문서함 중에서 가장 큰  가용공간을 보유한 곳에 사용자의 개인문서함을 할당합니다.


파티션 입력




가용공간 = 전체용량 – 사용자 할당용량

파티션의 가용공간은 물리적 가용공간이 아니라 파티션 전체 용량에서 사용자들에게 최대 사용가능으로 할당한 용량제외한 용량입니다



부서문서함 등록할 때 파티션 설정

같은 지역에 파티션이 여러 개가 있을 경우에는 부서문서함 중에서 가장 큰   가용공간을 보유한 곳에 부서문서함을 할당합니다.


파티션 입력



가용공간 = 전체용량 – 부서문서함 할당용량

파티션의 가용공간은 물리적 가용공간이 아니라 파티션 전체 용량에서 부서문서함들에게 최대 사용가능으로 할당한 용량제외한 용량입니다



    • Related Articles

    • 시스템 구성별 파티션 정보 등록 방법

      여기서는 시스템 구성별로 파티션 정보 등록 방법에 대한 예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 파티션 정보 등록 방법 이중화 없는 구조 파티션의 정보 등록은 실제 서비스에서 사용자들이 자신이 이용할 서버의 위치로 접속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개인문서함과 부서문서함의 인터넷 주소와 파티션 이름을 서버의 위치와 함께 등록합니다. 기능별 분산 구성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Active-Passive 구조 Fault Tolerance 구성의 예시는 아래와 ...
    • 부서문서함 생성 방법

      첨부 문서를 참조하세요.
    • (구버전) 사용자 매뉴얼 다운로드

      클라우독 2022년 상/하반기 이전의 구버전 사용자 매뉴얼입니다. 하단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클라우독 서비스 장비구성, 고급편

      클라우독 2022년 상/하반기 이전 구 버젼 : 해당 있음. 클라우독 2022년 하반기 이후 신 버젼 : 해당 있음. 고급 파티션 정보 등록 방법 서버가 여러 지역에 분산 배치된 경우의 파티션 정보 등록 방법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싱글도메인: 지역별 분산 구성 (파일서버[서울], 파일서버[부산]) 각 지역별로 모든 서버가 개인문서함과 부서문서함 서비스를 하는 경우입니다. 사용자는 되도록 가까운 위치의 서버에 있는 개인문서함과 부서문서함을 ...
    • 서버 관리 웹메뉴 사용 방법

      관리자웹 서버 관리 메뉴에서는 각 회사별 서버 구성에 맞게 파티션을 추가하여 관리합니다. 서버 관리에 앞서 스토리지 마운트(Storage Mount) 방법, 시스템 구성별 파티션 정보 등록 방법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아티클에서 파티션 개념 및 시스템 구성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파티션 추가, 삭제하기 파티션 추가하기 파티션을 추가하기에 앞서 /plusdrive/home이나 d:\plusdrive\orgcowork 등과 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