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티션 추가’ 창에 등록할 파티션 정보를 입력합니다.
항목명 | 내용 | |||||||||||||
용도 | ||||||||||||||
개인문서함 | 파티션 내에 여러
사용자 폴더가 생성됩니다. | |||||||||||||
부서문서함 | 파티션 내에 여러
부서문서함이 생성됩니다. ![]() | |||||||||||||
도메인 | 시스템을 멀티도메인으로
구성한 경우만 이용합니다. 파티션 내에 여러 추가 도메인이 생성됩니다. 각 추가 도메인은 하나의 기업 혹은 기관을 의미합니다. | |||||||||||||
웹서버 | 웹서버가 2개 이상으로 구성된 경우 캐시 업데이트 목적으로만 등록하며, 파티션
이름은 모두 가능하지만 관리 편의상 ‘web’으로 입력을 권장합니다. | |||||||||||||
관리자용 개인문서함 드라이브명 | 파티션의 용도가 개인문서함인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항목입니다. 서비스관리자가 윈도우 에이전트를 실행하면, 윈도우 탐색기에 개인문서함의 드라이브명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개인문서함 파티션
내에 여러 사용자 폴더가 생성됩니다. 예) ‘개인문서함_본사’이라고 이름을 입력하면 ‘개인문서함_본사(G:)’등과 같이 조회할 수 있습니다. ![]() | |||||||||||||
파티션명 | 파티션의 이름은 다국어가
가능하지만, 영문 입력을 권장합니다. 파티션이 생성 완료되면
이름을 변경할 수 없고, 한 서버에 중복된 이름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파티션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이름을 추천합니다.
![]() 서버 OS별 파티션명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서버 주소 | 파티션을 등록할 서버의
실제 IP주소 또는 DNS명을 직접 입력합니다. 기존에 등록된 서버인 경우에는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서버 위치 | 파티션을 등록할 서버의
지역(Region)을 입력합니다. 기존에 등록된 위치가
있으면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고, 없는 경우에는 직접 입력합니다. | |||||||||||||
중요도 | 높음 또는 보통 등으로
지정 가능하며, 중요도에 따른 관리 정책(예: 백업 실행 횟수, 디스크 품질)을
세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
전체용량 | 파티션이 사용 가능한
전체 용량을 입력합니다. 0 ~ 1,048,576(GB)까지 입력 가능 합니다. | |||||||||||||
문서함 수용여부 | 파티션 종류별로 추가
생성 수용여부를 결정합니다. | |||||||||||||
수용함 |
| |||||||||||||
수용 안 함 | ![]() 개인문서함용 파티션: 다른 개인문서함용 파티션에 사용자를 생성하고
싶은 경우 선택 ![]() ![]() 도메인용 파티션: 다른 도메인용 파티션에 추가도메인을 생성하고
싶은 경우 선택 |
2. 삭제하고자 하는 서버의 휴지통을 클릭합니다.
1. 일반관리 - 서버 관리를 클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