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함에 저장된 파일의 이름과 구조

문서함에 저장된 파일의 이름과 구조

 
문서중앙화 서버에서 변환되는 파일의 이름과 구조 및 내부적으로 관리하는 특수 파일에 대해 설명합니다. 

문서 파일

문서 파일은 서버에 저장될 때 암호화나 헤더 추가 등으로 파일의 이름이 변환됩니다. 여기서는 변환되는 문서 파일의 이름과 구조에 대해 설명합니다.

서버에 저장되는 문서는 기본적으로 PC문서와 동일한 이름으로 저장되지만, 특수 파일명에 사용되는 ‘%’를 파일명에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이 해당 문자를 인코딩하여 파일명을 변경합니다. 

변환 전 파일명 문자
변환 후 파일명 문자
%
%251
예) report%1.docx 은 report%251.docx 로 이름을 변경하여 저장합니다.
파일이 암호화되어 저장된 경우는 변환된 파일명 뒤에 .secure+ 확장자가 붙어 저장됩니다.
또한, 추가적인 정보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파일이 헤더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역시 파일명 뒤에 .cld+ 를 붙여서 저장합니다.

헤더 항목
내용
Version
 버전​
hsize
파일 사이즈
crtdby
파일 생성자
mdfdby
파일의 마지막 수정자
docid
문서 고유 아이디
seclvl
문서보안등급 코드(기능 사용시에만 설정되는 항목)
exprdate
문서 만료일(기능 사용시에만 설정되는 항목)
acdate
파일의 마지막 접근일(기능 사용시에만 설정되는 항목)
pcy
개인정보 파일 여부 (Y or N)(기능 사용시에만 설정되는 항목)

내용검색, 문서태그, 문서보안등급, 문서 만료일 등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문서 헤더를 이용해야 합니다.

파일명이 report%1.docx 인 경우 헤더와 암호화 사용 여부에 따라 파일명은 아래 테이블과 같이 변경하여 저장합니다.

파일 헤더 여부
파일 암호화 여부
저장 파일명
사용 안함
평문
report%251.docx
암호화
report%251.docx.secure+
사용함
평문
report%251.docx.cld+
암호화
report%251.docx.secure+.cld+8

 

특수 파일

내부적으로 파일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 파일들이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명

폴더 위치
용도

%%props

문서함 내 모든 폴더마다 존재
해당 폴더의 속성 정보 확인
- 폴더를 생성한 사용자
- 보안 반출 폴더 여부
- 문서보안등급 폴더인 경우 관련 정보
%%quota
문서함 root 레벨
또는
부서문서함의 quota 설정 폴더
) /plusdrive/home/00000/data/%%quota
/plusdrive/orgcowork/00001/data/marketing/%%quota
문서함 또는 폴더에 할당한 전체 용량 확인
%%used/value
문서함 root 레벨
또는
부서문서함의 quota 설정 폴더
) /plusdrive/home/00000/%%used/value
/plusdrive/orgcowork/00001/data/marketing/%%used/value
현재 사용중인 용량 확인


%%used/{년월일시분초}/delta

문서함 root 레벨
(부서문서함의 quota 설정 폴더에는 사용하지 않음)
) /plusdrive/home/00000/%%used/20200831125530/delta
실시간 용량 변화량 기록하여 1분마다 %%used/value 파일에 반영.
%%share/{사용중인 파일명}/{세션아이디_사용자아이디}
사용중인 파일이 존재하는 경로
예) /plusdrive/orgcowork/00003/data/marketing/%%share
/REPORT.DOCX/d26a0f9318f2b7ab569f25157512d04d_gdhong
- 현재 파일을 사용중인 사용자 목록을 관리하여 읽기와 쓰기 등을 통제하는데 이용.
- 파일명에 영문자가 들어가면 대문자로 변경되어 폴더명이 생성됨.
   예) data 경로 하위marketing 폴더 내의 report.docx 파일을 연 경우 왼쪽 예와 같이 대문자로 REPORT.DOCX  폴더명이 생성됨.
%%dslexcept
문서함 경로 내 폴더에 엔지니어가 수동 생성
ex) /plusdrive/orgcowork/00003/data/marketing
해당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하위 파일의 문서보안등급 확인 제외 (윈도우 탐색기에서 폴더 목록보기 속도 이슈로 추가)​


 











    • Related Articles

    • 클라우독 문서파일과 특수파일

      클라우독 2022년 상/하반기 이전 구 버젼 : 해당 있음. 클라우독 2022년 하반기 이후 신 버젼 : 해당 있음. 파일의 이름과 구조 문서 파일 서버에 저장되는 문서는 기본적으로 PC문서와 동일한 이름으로 저장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파일명을 변경합니다. 특수 파일명에 사용되는 ‘%’를 파일명에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이 해당 문자를 인코딩하여 파일명을 변경합니다. 변환 전 파일명 문자 변환 후 파일명 문자 % %25 예) ...
    • 파일 헤더 설정

      메뉴 경로: 시스템 설정 - 설정 홈 연결 - 고급 설정 - 파일 헤더 파일이 헤더를 갖도록 설정하여 추가적인 정보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내용검색, 문서태그, 문서보안등급, 문서 만료일 등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파일 헤더를 설정해야 합니다. 파일 헤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일명 뒤에 .cld+ 가 붙어서 저장됩니다. 파일 헤더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문서함에 저장된 파일의 이름과 구조를 참고하세요 . 파일 헤더 옵션 내용 ...
    • 중앙문서함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생성하거나 이름 변경할 때 0x8007048F 오류가 발생합니다.

      증상 중앙문서함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생성하거나 이름 변경할 때 0x8007048F 오류가 발생합니다. 분석 클라우독 운영 서버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 제한으로 파일 이름 길이가 제한됩니다. 파일 이름 길이 제한을 초과한 긴 이름의 파일을 생성할 때 해당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클라우독 운영 서버가 리눅스 운영체제를 이용하는 경우 주로 발생합니다. 리눅스 서버에서 주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은 ext3, ext4, XFS, Btrfs ...
    • 문서 공동 편집하기

      중앙문서함에서는 동일한 엑셀 문서를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편집할 수 없습니다. 다른 경우에도 동일한 문서를 동시에 편집해야 하는 경우는 공동 편집 문서함을 사용해야 합니다. 공동 편집 문서함 사용하기 공동 편집 문서함 공동 편집 문서함은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제공합니다. 관리자는 사내 서버의 특정 폴더를 공동 편집 문서함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 후 공동 편집 문서함에 접근을 허용할 부서 및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접근이 허용된 ...
    • 랜섬웨어 확산 차단하기

      랜섬웨어에 의해 서버문서함 내 파일이 감염된 경우 미리 설정된 검출 패턴을 통해 랜섬웨어를 신속하게 탐지하여 확산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랜섬웨어 검출 패턴 소개 랜섬웨어 검출 패턴은 다음과 같이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파일명 변경 작업 반복: 일부 랜섬웨어는 파일명을 변경하여 사용자들의 의심을 피하고 실행을 유도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를 탐지하기 위해 1분 동안 파일명을 변경할 수 있는 횟수를 설정하여 이를 초과 시 랜섬웨어로 ...